주식 재테크

졸탄포자르 인사이트 분석 전쟁과 인플레 이후 시장 상황 예측

테이블야자 2022. 8. 15. 15:27
728x90
반응형

월가의 현인이라 불린다는 크레딧스위스 졸탄포자르 인사이트 내용으로

전쟁과 인플레 이후 시장 상황 분석 및 예측 정보.

 

주갤에 번역본 올라온건데 한번쯤 읽어볼만한 자료인거 같습니다. 

 

무지성 롱으로 계속 가야할지, 아님 경기침체 숏에 대비하고 손절 후 탈출해야할지...

어렵다 어려워;;

 

미주갤펌/ 읽어볼만한글) 크레딧스위스 졸탄포자르- 전쟁과 인플레

졸탄 포자르

 

1. 현재 인플레를 유발한 강대국들은 기술, 상품, 원자재를 기반에 둔 열전(경제전쟁)을 벌이고 있음.

 

2. 인플레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부터 시작한게 아님, 그렇지만 전쟁이 가속화 했음

 

3. 경제전쟁과 팬데믹이 인플레를 유발하였고, 우크라-러시아 전쟁과 코로나정책이 이를 가속시키고 있음

 

4. 현재 서방권 국가들의 금리정책은 2가지 희망을 내포함: 인플레의 피크아웃& 매파적 움직임이 피크

 

5. 그러나 이는 지정학적(공급망) 위험 프리미엄이 없을 경우임. 현재 지정학적 위험이 증가하고 공급망이슈가 금리인상&긴축보다 더 강함.

 

6. 즉, 인플레 피크아웃&긴축 완화에 대한 기대는 틀렸음. 공급망위축으로 인한 물가상승이 수요정책으로 조절 할 수 있는 하락영향력 보다 더 크기 때문.

 

7. 기존의 저물가 세상은 크게 3가지 요소로 구성됨.

7-1. 미국내 서비스업을 고정된 임금으로 유지시키는 저렴한 이민자 노동력

7-2. 저임금 노동자들의 삶의 질을 올려줄 수 있는 저렴한 중국제 제품

7-3. 독일&EU 경제의 원동력인 저렴한 러시아 천연가스

 

8. 그러나 이제 이러한 혜택은 끝났다. (디플레 세상(QE&달러 프린팅)이 끝남)

 

9. 트럼프의 이민정책으로 200만개의 일자리가 미국에서 사라졌고, 코로나로 인한 조기퇴직등은 노동력 부족을 악화시켰고 임금압력을 증가시켰다

 

10. 대중 강경대응또한 미국이 기술전쟁의 패권을 가져왔지만, 디플레 시대를 종료하게 하는 뇌관이 됨.

 

11.즉, 이제 디플레이션이 끝나고 인플레이션이 시작됨.

 

12. 미국이 지휘하는 유럽과 러시아의 경제전쟁, 우크라-러시아의 전쟁등으로 경제논리 이상을 넘어서 정치적 논리가 지배하는 경제전쟁에 우리는 와있음.

 

13. 이제부터는 중앙은행의장을 따라야 하는게 아니라. 각국 대통령들을 따라야함.(FED의 경제적 움직임 파악보다 핑핑이, 푸틴의 생각을 파악하는게 중요)

 

14. 중앙은행은 수요조절만 가능하고 공급망에 대한 통제권이 없기 때문에, 중앙은행들은 인플레 통제권이 없다. 공급망을 담당하는 중,러의 손아귀에 달린 인플레임.

 

15. 서방권 국가들이 디플레의 전쟁에서 이겨낼 수 있었던 키, 공급망을 전부 뺏겼다.

 

16. 러시아는 가장 큰 원자재생산국, 중국은 가장 큰 생산공장국가인데, 이들이 바탕이 되서 수년동안 서방권 국가들이 양적완화를 할 수 있었음.

 

17. 지금 연준이 할 수 있는건 아무것도 없다.

 

18. 너가 기업재고상황, 부동산 렌트비등으로 CPI를 예측해볼려고 했나? 할 수 있을까?

 

19. 지금의 인플레는 2가지 관점으로 볼 수 있다. 경기 사이클(리오프닝, 무제한 양적완화로 부터의 악화) 또는 구조적 문제(두 강대국이 미국패권의 헤게모니에 도전하는 다극 세계질서로의 혼란스러운 전환)

 

20. 만약 경기사이클로 볼 경우, 인플레는 피크아웃이라고 말 할수 있다.

 

21. 그러나 구조적인 문제로 본다면, 인플레는 아직 시작하지도 않았고, 전쟁의 도구로 이해 할 수 있다.

 

22. 매크로 투자는 냉전이후 황금기를 맞았는데, 이제 금리로 시장을 조절할 수 없게 되면서 매크로가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세상이 올 수 있다. 경제적으로 해설하던 시장이 실제 물가상황과 대응하지 못할 것이다.

 

23. 정치적, 지정학적 리스크가 사라지고 공급망의 회복, 권력다툼이 해소되지 않는 한 인플레 피크아웃은 접어둬라.

 

24. 인플레가 임금에 스며들게 되면 이는 최악이다, 기대인플레를 만들어 가격이 상승한 만큼 인플레에 따라 임금인상요구가 있고, 인상된 임금은 물가의 하방경직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25. 시진핑의 제로 코로나(칭링) 정책이 주요 공급망 이슈를 촉발했다.

 

26. 일부는 1970년대만큼 에너지 가격이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서비스업 경제)하는데, 이는 틀린말임. 석유는 산업경제에, 인력은 서비스 경제에 필요함.

 

27. 1970~80s 석유개발 CAPEX 투자로 인해 가동률이나 생산률이 높아지는 변화가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없다. 70~80년대는 임금인상도 정치적으로 개입해 억압시키면서 막았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28. 메이저 정유사들이 10년동안 더 많은 투자를 했던 1970년대와 다르게 ESG와 같은 이유로 인해 지난 10년간 적었던 투자가 막 끝났다. 경기침체 우려로 원유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무너지지 않았다.

 

29. 석유공급은 여전히 빠듯하고, 전략비축유(SPR)방출은 지속적이지 못함, 이는 70년대와 확연히 다름. 또한 임금인상도 1980년대의 레이건 정부때와 확연히 다름.

 

30. 즉, 1970~1980년대 볼커가 완성시킨 인플레 하락에서 가능한 방법들은 지금 불가능함. 

 

31. 긴축사이클 자체가 말이 안되는 단어다. 수요공급은 고장난게 아니라 아예 몸이 망가져버렸다.

 

32. 인플레를 잡기 위해서 경제는 폭락 한뒤, 스태그플레이션이 온 L자 침체가 필요하다.

 

33. L자 침체 2가지 방향이 있는데, 심각한 경기침체로 인한 수직낙하형의 "ㅣ"형과, 스태그플레이션 or 스태그네이션을 의미하는 "ㅡ"자형이 있다.

 

34. 연착륙을 꿈꾸냐? 불가능하다. 수직하강이기 때문에

 

35. 수직하락 이후 금리인하를 보장하는것 조차 없다. 스태그플레이션과 짝을 이룰때, 금리인하는 "V"자 경기반등을 야기하지 않도록 오랜기간동안 고금리상태가 유지 될 수 있다.

 

36. 그동안 FED가 해낸건 아무거도 없다. 리세션인지 아닌지 고민할 시간에 어디까지 자빠질지나 고민해라. 이제 그만 좀 속아라 병신들아

 

37. 파월은 글러먹었다

 

38. 인플레가 피크아웃했고 긴축의 정점이 3.5%(연준 기준금리 의미하는듯)이라고 생각한다면, 주가가 약세장의 정점에 있고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니들은 크게 틀렸다. 더틀리나 서머스가 정답이다.

 

39. FED가 5%~6%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매우 현실적이다. 경제와 자산가격의 고통에도 불구하고 금리가 상승할 위험성이 너무 크다

 

40. 만약 파월의 볼커의 유산을 이용하려 한다면, 이는 연방정부의 평판을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시킬것이다.

 

41. 욕을 어떻게 처먹던 일단 인플레를 죽여야 하는데, 못할거 같다. 미국 경제가 매우 걱정된다.

 

42. L자형 경기침체의 "ㅡ"구간에서 어떻게 인플레를 일으키지 않고 경제를 살릴 수 있을까? 우리(서방권 국가)는 공급망을 발전 시켜야 한다. 이때 비로소 L자 침체가 아닌 "↓→↗"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3줄요약

1. 지금의 인플레는 경제전쟁으로 봐야하고, 만약 구조적 문제라면 인플레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2. 연준은 ㅂㅅ이고, 이를 해결하려면 폭락한뒤, 스태그가 오는 L자 침체가 필요하다.

3. 볼커식 인플레 해결법은 불가능하고, 금리는 5~6%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럴싸 하지만 근본적으로 미국은 허수아비....
라는 관점으로 적은 글이라 동감하기 힘듬
말그대로 중국과 러시아의 체력을 너무 과대해석 하고 있고,
미국은 이러한 공격을 계속해서 맞을거라고만 생각하고 있음.
중국과 러시아의 행동이 미국을 노린 공격이라고 해도, 영원할수 없는게
중국이 공급망 폐쇄는 기본적으로 자폭공격에 가깝고,
러시아의 공급망 공격은 몇년내 공급망 변화를 통해
유럽의 러시아 원자재 의존을 대폭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을거임.
심지어 러시아도 우크라 전쟁이 장기화 될거라 생각하고 한게 아니자나....
오히려 진짜 노리고 한거라면 미국이 시작할 3차대전을 걱정해야지
하방이 어쩌구 할 그럴게 아님

하방론자들의 관점.
논리적이지만.. 무조건 따르기엔 변수가 너무 많음
예를 들어 공급망 충격이 인플레이션의 본질이면
중국이 정상화되거나 러우전쟁이 종료되버리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건데.
장기적인 관점에서 L 자형을 예상하고
트레이딩하기에는 너무나 위험천만함 ..
당장 지금의 상승을 해석할 수도 없음.

하방적인뷰만 보다보면 일종의 확증편향이 생기는거 같기는해서

물론 롱뷰도 그렇지만 한번쯤 읽어는 볼만한 글이라 생각함.

반응형